건축 콤페 : 일본 건축 콤페의 볼썽사나운 역사 표지(자료제공=도서출판 집)
건축 콤페 : 일본 건축 콤페의 볼썽사나운 역사 표지(자료제공=도서출판 집)

“콤페의 가장 큰 목적은 ‘페어플레이’다”

1877년 고부(工部)대학교 조가학과(현 도쿄대학 건축학과) 교수로 부임한 영국의 조사이어 콘더는 “콤페의 가장 큰 목적은 ‘페어플레이’다”라고 했다. 공공기관에서 짓는 대부분의 건축은 콤페 그러니까 건축 설계경기를 통해 지어진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굳이 콤페라는 과정을 거치는 것에는 조사이어 콘더의 말처럼 ‘페어플레이’라는 전제가 있다.

정말 콤페는 ‘페어’할까?

《르코르뷔지에 미워》(도서출판 집, 2021)에서 르코르뷔지에의 앞뒤가 다른 모습을 미주알고주알 씹었던 요시다 켄스케(吉田硏介)가 이번에는 건축 콤페를 이야기한다. ‘콤페’라는 제도의 심사방식에 딴지를 건다. 시간이나 거리처럼 일정 수치로 정확하게 계측할 수 없는 건축 콤페에서 공평을 얘기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건축 콤페: 일본 건축 콤페의 볼썽사나운 역사》는 ‘일본 최초의 콤페다운 콤페’였다는 타이완총독부 청사 콤페(1907)부터 2021년 도쿄 올림픽 스타디움 국립신경기장 콤페(2012)까지 일본 근현대 건축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주요 콤페의 이모저모를 이야기한다.

‘콤페’라는 말조차 생소하던 1907년, 논의 끝에 실시하게 된 타이완총독부 청사 콤페. 27팀이 참여했고 2차에 걸쳐 심사를 했으나 1등을 선정하지 못했다. 결국 10년 뒤 2등안을 바탕으로 타이완총독부 기사의 작업으로 지어진 건물은 “장식이 과한 메이지 붉은 벽돌 양식”으로 바뀌어 있었다. “이것이 일본의 콤페다운 콤페의 ‘시작’이다.”

이 사례 이외에도 ‘당선작 없음’이라던 콤페의 심사위원이자 기획설계자였던 건축가의 설계로 지어진 히로시마 평화기념 카톨릭 성당, 공모지침을 어겼음에도 당선된 센다이시 공회당, 1등안을 발표하고 나서 예산 초과, 땅의 역사적 맥락 저해 등을 지적하는 여론에 밀려 새로 콤페를 진행한 신국립경기장 등 콤페의 다양한 사례를 미주알고주알 이야기한다.

이 책을 번역한 강영조 교수는 “이 책은 콤페 무용론이 아니라 근현대 일본 건축가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역사에 남을 명건축을 만들게 되었나를 보여주고 있다”면서 “일본의 건축가들이 좋은 건축을 만들기 위하여 흘린 뜨거운 땀방울의 기록”이라고 말한다.

한국어판에서는 일본의 근현대건축에 대한 정보가 적은 독자를 위해 책에 언급된 건축가와 건축물을 사진과 함께 소개하는 페이지를 추가했다. 저자가 원고 쓰면서 작성한 책에 소개된 건축 콤페 내역을 소개하는 페이지도 추가했다. 뿐만 아니라 콤페 출품 당시 이미지와 완공된 모습을 비교하기도 하고 콤페 과정에 문제가 되었던 부분을 독자도 함께 생각해보자는 의미에서 도면과 사진 자료를 적극 활용했다. 최소한의 이미지만 보여준 일본판과 다른 점이다.

:: 요시다 켄스케(吉田研介)::

1938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와세다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다케나카공무점에서 2년 동안 실무를 익혔다. 와세다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해 안도 카츠오(安東勝男)와 호즈미 노부오(穂積信夫) 교수에게 사사한 뒤 여러 대학에서 시간 강사로 일했다. 1967년부터 도카이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2004년 정년 후 명예교수로 남아 있다. 1968년부터 요시다 켄스케 건축설계실을 운영하며 치킨하우스 구락부를 주제하고 있다.

:: 강영조(옮긴이) ::

동아대학교 명예교수이다. 도쿄공업대학 사회공학과 경관공학연구실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풍경에 다가서기》(효형출판, 2003), 《풍경의 발견》(효형출판, 2005), 《부산은 항구다》(동녘, 2007), 《한국정원답사수첩》(동녘, 공저, 2008), 역서로 《풍경의 쾌락》(효형출판, 2007), 《토목을 디자인하다》(동녘, 2010), 《로코르뷔지에 미워》(도서출판 집, 2021) 가 있다.

저작권자 © 건축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