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건축단체연합, ‘대통령실 이전과 용산지역 발전방안’ 토론회 개최

‘대통령실 이전과 용산지역 발전방안’을 주제로 발제 중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이희정 교수

용산지역 미래 융복합적 도시혁신계획구역으로서의 통합적 마스터플랜이 필요

“미래 용산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중심 및 강남북 균형발전에 걸맞는 경쟁력 있는 새로운 중심지로서의 계획이 진행될 수 있는 통합적 지역계획 마련 필요하다.”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이희정 교수는「대통령실 이전과 용산지역 발전방안」 토론회 발제에서 용산지역 발전구상과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중심으로 미래 용산지역의 발전 방향과 향후 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이 교수는 미래 용산지역 발전 방향에 대하여 “개발 압력과 지나친 기대, 공공과 민간 사이의 통합적 합의 등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용산의 바람직한 미래상 구현에 오히려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하며, “정책사업과 민간사업과의 조화, 그리고 서울시와 용산구, 국가와의 조율, 건축과 도시, 교통과 환경 등 여러 부분들 사이에서 합의를 이끌어내는 통합적 거버넌스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제도적 기반들을 통해서 국가업무, 국제업무, 첨단산업, 주거, 공원, 비즈니스가 연계되어 있는 미래의 복합 새로운 도시 혁신계획구역과 같은 통합적 마스터플랜이 마련되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건축단체연합(대표회장 석정훈, 대한건축사협회·한국건축가협회·대한건축학회)는 지난 4월 21일 오후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대통령실 이전과 용산지역 발전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서는 건축 및 도시계획 전문가들이 참가하여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을 전제로, 용산지역의 발전방향과 향후 과제, 그리고 청와대 활용방안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청와대 설계에 참여한 이형재 정림건축 고문은 청와대 활용과 관련해 “기존 건축물에 어떤 콘텐츠를 넣을 것인가에 대해 고민해야 할 시점이고, 이와 관련한 새로운 마스터플랜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면서 “윤 당선인이 선택적으로 기존 시설을 활용하고 국민들에게 개방할 부분은 개방해, 청와대의 상징성·영속성은 이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이전과 용산지역 발전방안’ 토론회 개최
 ‘대통령실 이전과 용산지역 발전방안’ 토론회 개최

건축 및 도시계획 전문가 토론,  전문적인 문제는 전문가와 소통  제안

건축계, 국가적인 문제 & 사회적인 이슈에 적극적,  능동적으로 제안 계기되길

주제발표 후 토론에는 ▲김광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고, ▲권영상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김종헌 배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김지한 대한건축사협회 이사 ▲서영주 한국여성건축가협회 부회장 ▲장세정 중앙일보 논설위원 ▲조항만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홍성용 대한건축사협회 편집국장이 토론자로 참여하여 열띤 토론을 펼쳤다.

김지한 대한건축사협회 이사는 청와대의 활용방안은 개발방식의 설정이 중요하다면서 “국가문화유산으로서 정통성에 기반 한 보전개발방식과 전면 개방을 전제로 한 일반개발방식”을 제안했다.

더불어 용산지역 발전 방안에 대해서 “단순개방에 목적을 둔 공간적 개발이 아닌 지역민이 참여하고 지자체와 민간기업이 함께하는 사회적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야만 국·내외 방문객의 증가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용산지역은 대통령의 집무실 이전으로 새로운 국가거점지역으로 부상함으로써 단순히 그 지역만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보다는 청와대, 경복궁, 서울시청, 남산, 전쟁기념관, 용산가족공원, 국립중앙박물관, 한강시민공원, 현충원으로 이어지는 도시문화벨트를 형성하고 다양한 체험요소와 문화예술을 위한 상징경관 확보와 기반시설의 정비로 역사와 문화를 융합시키는 시도가 필요하다.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 발전시키는 거시적인 발전계획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서영주 한국여성건축가협회 부회장은 “100여 년 가까이 용산은 서울 안에 있지만 서울의 고유 틀과는 다른 세계성을 갖는 영역”이라고 생각한다면서, “기존의 도심구조의 흐름을 막고 인위적으로 설정된 범위로 오랫동안 우리 도시 안에서 녹아있지 못하고 경계감을 갖는 또 다른 세계의 영역이었던 것을 감안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이전을 계기로 서울이라는 도시 전체 구조에서 용산 부지의 적절한 도입 용도에 대해서 보완된 마스터플랜을 잡고, 주변부에서 왜곡되어 있는 부분은 재구성하고, 놓치고 있는 가치는 새로 발굴해서, 현대도시 서울의 골격을 기존의 도시와도 조화롭게 재구성하면서 새롭게 만들어 가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홍성용 대한건축사협회 편집국장은 “용산공원 유지 관리비용으로 연간 350억 원 정도 투입이 예상되고 있고, 조성하는데 1조원 가까운 비용이 들어간다고 한다. 우리가 항상 놓치고 있는 것이 '공공'이라는 타이틀을 붙였을 때 유지관리를 누가할 거냐인데, 결국에는 세금으로 운영되는데 용산공원은 국가공원으로 전국의 세금이 들어간다”면서, “국가공원인 용산공원을 전 국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 어떻게 만들어 줄거냐하는 고민은 분명히 해야 된다. 저는 이 부분에 대한 밀도 높은 논의가 되어야 한다”라며 유지관리 운영 프로그램 개발과 보다 심도 깊은 장기적 마스터플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광현 교수도 토론회를 마무리 하면서 전문적인 문제는 전문가와 소통하기를 제안하면서, 건축뿐만 아니라 조경, 도시계획, 역사, 인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상시적인 관계에 의해서 대안을 마련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석정훈 대한건축사협회 회장도 “이번 토론회를 통해서 건축계가 국가적인 문제나 사회적인 이슈에 대해서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면서, 한국건축단체연합은 토론회에서 나온 건축계의 의견을 모아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건축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