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경기도건축문화상 사용승인부문 대한건설협회 경기도회 회장상
- 최민욱, 이복기, 조세연(㈜노말 건축사사무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건축주는 오랫동안 살아온 집을 철거하고 같은 곳에 새로운 집을 짓기로 하였다. 가족들이 오랜 기간 살았던 곳이라 해당 대지의 장단점을 뚜렷하게 알고 있었으며, 동시에 다양한 집에서 살아본 경험이 있었기에, 본인들에게 꼭 맞는 집이 어떠한 집인지에 대한 이해와 기대가 높았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해당 대지가 주변 대지와 다른 점은 유사한 형태의 건물들이 반복적으로 지어진 주택단지 내 대지임에도 불구하고, 그중 모서리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4면 중 3면이 경사로로 접하여 있으며, 서측과 동측의 대지의 고저차가 4.9m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이하게도 지구단위계획에 따라 일부를 근린생활시설로 사용 가능한 점포주택 대지였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전체적인 규모는 건축주와 협의 단계에서 주변 건물보다 크게 계획되었다. 2층을 규모로 계획하고 있었으나, 가족 구성원들의 요구사항으로 3층이 되었고, 모서리에 위치하다 보니 사생활 보호를 위한 담장 계획이 건물의 볼륨을 커 보이게 하는 요소가 되었다. 지구단위계획의 경사지붕 의무도 요소 중 하나로 더해졌다. 충분한 규모를 확보하면서도 주변 건물보다 커 보이지는 않길 바라는 기대가 이 프로젝트의 주요한 과제였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적호재는 익숙한 요소를 모아 새로움을 만들고, 상반된 요소를 통해 완성되었다. 주변에 비해 독보적인 크기가 되지 않았으면 하였고, 사생활 보호와 시각적 개방감을 동시에 충족시켜야 했다. 익숙한 재료와 방식을 차용하지만 그것의 재해석은 새롭고, 주변의 풍경과 어우러지면서도 마을의 신선함을 주었으면 한다. 나아가 익숙함과 상반된 요소들을 통해 개인과 공공의 입장에서 만족하고 어우러짐을 바라는 작업의 연장이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건축개요
대지위치 : 경기도 성남시
건축용도 : 단독주택 / 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 459.9㎡
건축면적 : 217.42㎡
연면적 : 572.07㎡
건폐율 : 47.28%
용적률 : 77.25%
주요구조 : 철근콘크리트
규모 : 지하 1층, 지상 3층 

 

*** 경기도건축문화상 수상작 작품소개는 관련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으며, 경기도건축사회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게재하였으며, 건축사뉴스 지면에 맞춰 편집해 게재하였음. 

저작권자 © 건축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