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경기도건축문화상 사용승인부문 금상
- 노승범(한양대학교), 정수흥(㈜종합건축사사무소 에이디디)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배수지 리모델링프로젝트

“물을 비우고 빛을 채우다”
한얼공원 중턱에 묻혀있던 기존배수지는 도시기반시설로서의 역할을 지우고 군포시 그림책꿈마루로 재활용되었다. 40m×60m×5m의 콘크리트 구조물인 기존 배수지가 그림책꿈마루라는 새로운 기능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기존 배수지가 지니고 있는 공간적 의미를 최대한 담고자 하였다.

기존 배수지는 그림책 자료실 및 열람실, 전시공간, 그리고 교육공간으로 변환되고 측면에 공연장 및 지원시설이 경사를 따라 연결 증축되었다.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전시실, 열람실 그리고 교육실 등의 새로운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드러내기(exposing), 붙이기(adding), 파내기(carving) 그리고 접기(folding) 등 4가지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통하여 내부공간과 외부공간과의 시각적, 공간적 연계를 형성하며 동시에 채광 및 환기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였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기존 배수지 내부의 푸른색 기둥과 벽면을 최대한 원형으로 유지하여 기존 배수지의 공간적 체험을 유도하였고 중정공간에 빛 반사를 극대화하기 위한 수공간 설치와 기존 기둥들을 강조하는 5m×5m 격자형 그리드 조명 장치들로 인하여 어둠 속에 갇혀있던 기존 배수지의 내부공간이 빛으로 충만한 반전적이고 매력적인 공간적 성격을 갖도록 하였다.

옥상공원으로 연결되는 또 다른 중정공간은 내부공간과 한얼공원과의 시각적, 공간적 매개체로 작동되며 다양한 영역의 외부공간으로 구성된 옥상공간은 한얼공원 산책로와 연결되어 공원 속의 문화공원으로 자리 잡는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산 중턱에 묻혀있는 배수지의 일부를 레벨을 이용하여 노출시킨 후 진입공간으로 조성 하였다. 진입공간에서 옥상에 위치한 그림책꿈마루 공원으로의 접근이 순환동선이 되 도록 구성하였으며 중정 및 수직동선을 통하여 박물관 내부공간과 연결된다. 또한 한 얼공원과 연결동선을 제안하여 공원과 연계되도록 하였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입면은 지상에 노출시킨 기존 배수지의 콘크리트 벽면과 주변 공원 및 하늘의 반사를 유도하는 다양한 투명도의 필름이 접합된 로이복층유리의 이중외피로 구성된다. 이렇 게 구성된 입면은 배수지에서 그림책꿈마루로 변환된 새로운 건축물에 기존 배수지의 기억을 담고자 하였다. 공연장과 행정시설은 옥상공원을 확장하기 위하여 기존 배수지 측면에 증축하였고 기존 배수지 콘크리트 벽면과 조화될 수 있도록 베이지톤의 테라코 타를 판넬을 사용하였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로비 및 홀은 기존 배수지의 공간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존 배수지의 흔적을 최 대한 보존하였다. 5m×5m 그리드의 기존 푸른색 기둥들과 벽면을 최대한 보존하고 중정 및 수공간을 도입하여 빛의 유입과 반사를 통하여 기존 배수지 공간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으려고 하였다. 그리고 홀은 다양한 이벤트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형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전시공간은 기존 배수지의 공간적 체험과 그림책 전시를 위한 공간을 제안한다. 기존 배수지의 장소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박물관의 진입공간에서부터 전시공간에 이르기까지 기존배수지의 공간적 특성을 최대한 유지하고 중정과 수정원을 이용한 빛의 유입으로 새로운 공간의 창출을 공간적,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전시공간은 그림책에 관한 콘텐츠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시할 수 있도록 최대한 융통성 있는 공간으로 구성하 였으며 전시동선은 배수지전시, 상설전시, 기획전시 그리고 프로그램실로 연결되는 순환동선으로 구성된다. 중정공간을 통해 옥상의 그림책꿈마루 공원으로 연결되는 명상 공간은 휴식공간 뿐만 아니라 영상관람 등의 다양한 이벤트공간으로 사용된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실 및 열람실은 채광 및 환기 등을 고려하여 기존 배수지가 지상에 노출된 부분에 배치하였다. 땅 속에 묻혀있던 기존 배수지의 콘크리트 벽면을 노출시키고 수공간에 이야기방들은 기존 배수지의 흔적과 새롭게 구성된 그림책꿈마루와의 연계를 유도한다. 자료실과 옥상공원을 연결하는 계단식 열람실은 카페와 야외 독서마당으로 연결된다. 또한 계단식 열람실은 로비공간과의 공간적 연계를 통하여 빛을 유입하고 이용자들과의 시각적 소통을 유도한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건축개요 
대지위치 : 경기도 군포시 금정동 한얼근린공원 내
지역/지구 : 도시지역, 자연녹지지역/지구단위계확구역
주용도 : 교육연구시설(도서관)
대지면적 : 38,371.70㎡
연면적 : 3,821.66㎡
건축면적 : 459.34㎡
주요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구조
주요부분마감 : 테라코타판넬, 노출콘크리트, 칼라강판, 로이복층유리
규모 : 지하 2층, 지상 1층
주차대수 : 7대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 : 1++
에너지성지표점수 : 75.48점
녹색건축인증 : 일반(그린 4등급)
 

*** 경기도건축문화상 수상작 작품소개는 관련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으며, 경기도건축사회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게재하였으며, 건축사뉴스 지면에 맞춰 편집해 게재하였음. 

 

저작권자 © 건축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