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경기도건축문화상 사용승인부문 입선
- 김유홍(건축사사무소 봄건축연구소)
'단순하지만 깊이와 음영을 가진 매스'가 되기를 원했다.
그러기 위해 최대한 단일한 톤의 벽돌마감을 사용하여 구축성을 드러내기보다는 없애는 방식으로, 하나의 덩어리면서 균질한 텍스처로 보일 수 있도록 계획했다.
남서향으로는 마을의 원경이 시원하게 펼쳐진 대지였다. 동쪽 가까운 곳에서 작은 동산이 솟아올라 대지 앞을 가르며 서측으로 나직이 내려앉아 있었다. 자연 풍광에 비해 몇몇 파란색 샌드위치 패널 지붕과 정리 되지 않은 군락의 모습이 조금 아쉽고 소란스럽게 느껴졌다. 아무것도 없는 대지에 서서 머릿속으로 가상의 수평선을 띄워보았다. 새로운 건축적인 수평선, 묵직하게 풍경의 기단이 되어줄 돌담의 수평선을. 그 위 초록의 동산과 마을 원경과 하늘로 이어지며 차례로 색이 입혀지니 샌드위치 패널 지붕도 비로소 풍경의 일부로 스며들 수 있을 것 같았다.
중정은 그 공간형식을 먼저 염두에 두었다기보다는 각 실들을 배치해가는 과정에서 기능적 필요에 따라 소환된 자연스런 결과였다. 첫 번째 중정은 현관과 대응하며 집의 첫인상을 떠올리게 하는 입구의 전망을 위해, 두 번째 중정은 2층 음악작업실의 기능적인 이격을 위해, 세 번째 중정은 거실의 확장과 안방 영역의 분리를 위해, 네 번째 중정은 안주인을 위한 쉼터이자 뒷마당의 플랫폼의 역할을 위해, 다섯 번째 중정은 풍경 조망과 프라이버시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욕실을 원했던 건축주를 위해 각각 계획되었다. 하여 이 모든 중정이 반드시 필수불가결한 것은 아니라 해도, 단지 공간형식의 완결성을 위해서 프로그램을 희생시킨다거나 개념을 먼저 정해 두고 생활을 억지로 끼워 넣은 것은 아니라는 확신이 있었다.
살림집으로써의 기능적 요구를 모두 수용하면서 적정하게 배치된 중정형식의 보이드는 자칫 경직되어 보일 수 있는 직각의 매스에서 정중동의 리듬을 만들어 내고, 이런 측면이 이 집의 클래식함이 되기를 원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조경이 자리 잡고 나니 앞마당은 그저 시원한데 반해, 뒷마당은 오밀조밀하며풍성하다. 은밀한 느낌도 들고 살림집 같다. 그렇게 외부공간이 앞뒤로 다른 분위기를 지닌 채 중정과 창들을 통해 서로 투명하게 조우한다. 이제 나머지는 빛과 그림자의 역할이다. 벽돌은 그 자체 흙의 색깔이 분홍색과 노란색, 베이지색을 조금씩 편차를 달리하며 지니고 있는데 날씨와 햇빛의 질감에 따라 각각의 색이 차례로 드러나는 걸 발견하는 것도 이 집에 사는 사람에게 주어진 소소한 즐거움이다.
건축개요
대지위치 : 경기도 화성시
주용도 : 단독주택
지역/지구 : 생산관리지역
대지면적 969 ㎡
건축면적 : 193.77 ㎡
연면적 : 412.32 ㎡
주요구조 : 철근콘크리트 구조
주요부분마감 : 치장벽돌쌓기
규모 : 지상 2층
주차대수 : 3 대
*** 경기도건축문화상 수상작 작품소개는 관련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으며, 경기도건축사회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게재하였으며, 건축사뉴스 지면에 맞춰 편집해 게재하였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