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경기도건축문화상 사용승인부문 입선
- 김도형(아키도형 건축사사무소)
Prologue
건축주는 가족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 이미 오래전부터 단독주택에서 거주 중이었다. 그곳은 현재 대지의 인근에 위치해 있었으며, 지둔리에서 오랜 기간 거주하면서 동네에 대한 애정이 가득한 상태였다. 몇 해 전 새롭게 주택을 신축하기 위해 현재 대지를 매입해 놓은 상태였다.
남편과 아내 그리고 세 자녀는 이미 단독주택 생활에 익숙해 있었고, 가족들이 거주하면서 느낀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은 더욱 크게 실현하기 위한 설계가 시작되었다. 여러 가지 요구사항 중 구체적인 몇 개를 꼽자면 데크를 지양하고, 잔디를 최소화하기를 바랐다. 그리고 가족 구성원들 각자의 방을 가질 것, 엘리베이터를 꼭 넣어줄 것, 그리고 음악 감상이 취미인 부부를 위한 가족실을 만들어 달라는 요청과 지하공간을 유용하게 쓰길 바란 점들이 있다. 우리는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고 그 외 단독주택에서 필요한 요소들을 꼼꼼히 설계해 나갔다.
Site analysis
대지는 경사가 급하고, 고저차가 심한 진입부를 가졌다. 우리는 이 레벨을 건물 내에서 흡수하도록 지하층 진입과 1층 진입구를 각각 따로 만들어 낮은 남측 도로에 면해서 주차장 진입구를 만들고, 높은 북쪽 도로에 면해서 1층 진입구를 만들었다. 이로써 두 레벨은 건물 내에서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통해 중첩되고 대지가 가진 고저차를 배치와 동선계획에 반영하여 성절토를 최소화하였다.
Design process
ㄱ자 형태로 남측과 동측 끝단에만 옹벽을 만들어 토목공사를 최소화하고 마당은 넓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380평 넉넉한 대지와 주변 상황을 고려해 지하에 제2의 그라운드를 만들고 땅을 파면서 잘려 나온 암반을 이용해 지하 선큰 마당 주위로 휴식각을 두고 넓게 둘러 지하층을 외기에 최대한 면하게 하였다. 바위로 감싼 형태의 지하 마당은 오직 이 곳 에서만 느낄 수 있는 위요감과 높은 하늘, 멀리 보이는 산등선이 새로운 공감각으로 읽히고 하늘로만 열려 있어 개방적이지만 완벽한 프라이버시를 제공할 수 있다.
평면은 모든 방을 남동쪽으로 배치해 따뜻한 남향 빛을 받게 하고, 막힘없이 열린 천마산의 능선을 동시에 바라볼 수 있게 조망을 지향하였다. 또한 모든 방과 복도의 창을 대면 배치해 문과 창을 열면 모든 방에서 맞바람이 통할 수 있게 계획하였다. 복도의 끝 시선이 머두는 곳엔 창을 내어 시각적 확장을 꽤 하였다.
가로로 긴 평면은 모든 방에서 테라스를 가질 수 있게 하고, 실과 면한 모든 창은 외부로 나갈 수 있다. 건축적 장치인 처마는 외관에 수평선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내부로 들어오는 빛의 세기를 조절한다. 이는 비를 맞지 않고 전체를 이동하고 각방 테라스에 앉아서 천마산을 조망할 수 있는 테라스를 갖게 하였다.
지하층은 송판노출콘크리트를 적용하여 외장재나 외단열을 지하 토압에서 유리하게 하였고, 지상층은 현무암벽돌을 사용하여 지하 송판노출콘크리트와 입면을 조화롭게 하였다. 수평적이고 메시브한 건물은 바위를 뚫고 나온 듯 표현되고, 정제된 입면선들 속에 살짝 숨긴듯한 곡선처마와 둥근기둥은 한옥의 처마와 기둥을 은유하듯 표현된다.
건축개요
대지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지둔리
지역/지구 : 계획관리지역, 준보전산지, 자연보전권역<수도권정비계획법>
주용도 : 단독주택
대지면적 : 998㎡
건축면적 : 174.36㎡
연면적 : 559.63㎡
주요구조 : 철근콘크리트 구조
주요부분마감 : 현무암벽돌, 송판노출콘크리트
층수 : 지하 1층, 지상 2층
주차대수 : 4대
*** 경기도건축문화상 수상작은 경기도건축사회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게재하였으며, 건축사뉴스 지면에 맞춰 편집해 게재하였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