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경기도건축문화상 사용승인부문 입선
- 정상경, 류인근, 김도란(㈜요앞 건축사사무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신화리에 복합성과 대립성(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Shinhwa-ri)

“대지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끌어내는 배치를 통해 각기 다른 마당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건축 스스로의 완결된 미학적 비례를 대지와 충돌시킨다.”

신화리의 대지에서 접근하기 

양평 신화리의 마을 길의 완만한 경사를 따라 깊숙이 들어간 한적한 위치에 대지는 있었다. 마을에는 주택이 많지 않았고 그나마 몇 채 있는 건물들도 드문드문 떨어져 있어서 필지 안에서는 시야에 걸리는 건물이 거의 없이 마을을 내려다볼 수 있는 위치에 있어서 매력적인 필지였다. 클라이언트는 아이 둘과 살 집, 공방과 스테이 한 채를 원했다. 도로를 좁게 면하고 길쭉한 형상의 필지는 오히려 클라이언트가 원한 각기 다른 용도의 시설을 한 필지에 담기에 좋은 조건이라 여겨졌다. 

대지를 어떻게 해석해서 세 가지 다른 시설과 다양한 외부 공간 그리고 주차를 배치할지에 대한 스터디를 시작했다. 공방과 주택 그리고 스테이 모두가 좋은 풍경을 내려다보고 향이 유리하게 일렬로 이어지는 배치를 제안했다. 대신에 각 시설이 서로 다른 각도로 구부러져 시선과 동선이 교차하지 않게 하고 각자의 외부 공간을 독립되게 갖도록 계획했다. 

첩첨(신화리 공방주택)의 컨텍스트와 미학
첩첨은 뾰족한 지붕들이 겹쳐있는 애니매이션을 좋아하는 가족을 위해 지은 집으로, 복잡하면 서도 단순한 집이다. 대칭적이면서도 비대칭적인 형태, 사선의 사용, 중앙에 위치한 듯하지만 왼쪽으로 치우쳐 있는 문, 비대칭적으로 위치한 창문등을 통해 건축의 미학을 표현하고 있다. 다시 말해 지금 현재시점의 주택의 미학적인 규범과 대지의 컨텍스트의 충돌을 통해 건축을 생각해보는 것이 프로젝트의 건축적인 목표이다. 

어린아이가 상상한 마법같은 집은 어떤 모습일까 상상했다. 단순히 형태적으로 독특한 건물이 아니라 이야기와 상상력을 더하고 동화적으로 표현된 모습이길 바랐다. 반복적으로 이어지는 뾰족뾰족한 지붕의 형상을 적용하고 사각의 창대신 삼각형, 원형, 타원형 그리고 사다리꼴 등의 다양한 형태의 개구부들이 건물의 입면을 비례를 만들어 나간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공방
주차장을 지나 곡선의 낮은 콘크리트 울타리를 넘어 가장 처음으로 마주하게 되는 공방의 입면은 사다리꼴 형상에 어두운 삼각형의 문이 단순하면서 강력한 인상을 준다. 잔디밭으로 흩어져 나온 삼각형의 발판을 딛고 문을 열면 새로운 세계가 펼쳐질 것만 같은 느낌이 드는데 묵직한 철문을 열고 들어서면 삼각형 문의 이미지와 연장되어 삼각형의 창문들, 삼각 형태로 높게 치솟은 천장과 삼각형의 천창이 공간을 감싼다. 삼각의 창 너머로는 삼각 패턴의 잔디밭과 마당의 삼각형의 수돗가로 형태가 이어지는데 이런 만화적인 표현은 건물에 경쾌함을 더한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단독주택
가운데 위치한 주택은 북 측면에서 접근하고 남동쪽으로 마당을 갖도록 계획하였다. 공장처럼 뾰족뾰족한 지붕의 형상이 연달아 이어지는 형상에 잠수함의 창문 같은 타원형의 개구부는 건물에 입면에 풍부한 표정을 만든다. 진지하게 굳어진 표정이 아니라 로봇의 얼굴이기도 했다가 잠수정이기도 했다가 마법 학교이기도하고 쵸콜릿 공장이 되기도 하는 상상력을 자극한다.

주택은 길게 이어진 시설 중 유일하게 2층 건물로 계획되었는데 뾰족한 지붕형상은 내부에서 높은 층고의 거실과 2층 아이들의 방과 놀이 공간이 되어 내부 공간에도 위트를 더한다. 뾰족(첨)의 반복(첩) 공간을 활용해 아이들에게 동화같은 공간감과 주택의 편안함의 접점을 찾아간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스테이(농어촌민박)
스테이는 대지의 가장 안쪽에 조용한 위치에 배치하였는데 주차를 하고 북측의 긴 진입로를 따라 접근되도록 했다. 주차하고 스테이로 접근하는 동선을 길게 계획하였는데 현실에서 멀어지면서 비일상의 공간으로 접근한다는 느낌으로 연출하고 싶었다.

긴 진입로를 지나면 마주하는 붉은 출입문은 비현실공간의 문을 여는 비밀 문이 된다. 문을 열면 상부 천창으로부터 빛이 쏟아지고 전면의 이형 창의 필름을 통해 들어오는 형형색색의 빛깔과 일부 가구와 벽체에 사용된 강렬한 색감이 낯설게 만든다. 내부에는 일상에서 흔히 접하지 못하는 강렬한 색감을 사용하여 비일상적인 공간으로 느끼게 된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건축개요
대지위치 :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신화리
지역지구 : 계획관리지역
주용도 : 단독주택. 공방(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 1,033 ㎡
연면적 : 237.63㎡ 
건축면적 : 222.95㎡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주요마감 : 벽돌타일, 외단열시스템 스톤코트
규모 : 지상 2층
주차대수 : 5대(법정 3대)
 

*** 경기도건축문화상 수상작 작품소개 관련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으며, 경기도건축사회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게재하였으며, 건축사뉴스 지면에 맞춰 편집해 게재하였음.

저작권자 © 건축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