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향리평화생태공원 內 평화기념관 전경(사진=김혜성)
매향리평화생태공원 內 평화기념관 전경(사진=김혜성)

매향리평화기념관은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매향리  ‘매향리 평화생태공원’ 내에 위치해있다. 매향리평화기념관이 오는 12월 개관을 앞두고 있다.

매향리 평화생태공원은 미군이 한국전쟁 이후부터 2005년까지 해안에서 약 1.5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농섬과 함께 미군 부대 및 폭격장으로 사용했었다가 현재 평화기념공원으로 조성되었다.

매향리 평화기념관의 철조망 담장과 입구 경비실은 폭격장으로 사용할 당시 조성된 것을 보존한 것으로 당시의 상황을 짐작케 한다.

매향리평화기념관 경비실(사진=김혜성)
매향리평화기념관 경비실(사진=김혜성)
F-52 타이거Ⅱ 전투기(사진=김혜성)
F-52 타이거Ⅱ 전투기(사진=김혜성)

매향리평화기념관은 리움미술관, 교보타워로 친숙한 세계적 건축 거장 마리오보타가 설계를 맡았으며, 전쟁으로 인한 소음과 보이지 않는 폭력, 주민들의 고통을 재해석하고, 미래로 나아가는 생명을 상징하는 심장소리를 모티브로 디자인하였다.

매향리 평화기념관 전경(사진=김혜성)
매향리 평화기념관 전경(사진=김혜성)

외관에서 마주하는 첫 번째 모습은 이러한 디자인을 나타내듯이 M 자형의 형상을 하고 있고, Maehyangri(매향리), Museum(박물관), Memorial(기념)을 상징하는 의미로 디자인에 적용했다.

매향리 평화기념관 수면위의 전망대 전경(사진=김혜성)
매향리 평화기념관 수면위의 전망대 전경(사진=김혜성)
매향리 평화기념관 전망대, 아래에서 바라본 하늘(사진=김혜성)
매향리 평화기념관 전망대, 아래에서 바라본 하늘(사진=김혜성)

외장재는 마리오보타의 디자인답게 붉은 벽돌을 사용했다. 기념관의 외관을 감싸고 있는 붉은 사선 기둥들은 건물 앞의 수면과 함께 수도원의 회랑과 같은 경건함을 준다. 벽돌이 주는 장중함과 따뜻함이 느껴지는 건축인 동시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접합부는 벽돌색과 다른 회색으로 의도한 듯이 적용하여 마치 거대한 목조 오브제 같은 느낌도 들게 한다.

매향리평화기념관 회랑(사진=김혜성)
매향리평화기념관 회랑(사진=김혜성)
회랑 기둥 확대 사진(사진=김혜성)
회랑 기둥 확대 사진(사진=김혜성)

현장을 방문할 당시는 개관전이라 내부는 확인할 수 없어서 아쉬웠는데 마리오보타의 이전 작품들로 미루어 내부도 빛을 이용한 위로와 치유의 경건한 연출이 반영되었으리라 예상된다.

멀지않은 시간 내에 관람할 수 있다고 하니 다시 한 번 방문할 예정이다.

화성시 또 하나의 마리오보타 작품인 남양성모성지 대성당과 함께 일일 건축투어를 떠나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매향리평화기념 관 경기 화성시 고온리안길 24-11(지도 링크)

저작권자 © 건축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