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경기도건축문화상 사용승인부문 입선
- 정웅식(㈜온 건축사사무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하남 구도심의 끝자락과 하천이 만나는 경계의 영역에 위치한 대지 주변에는 개발에 의한 오래된 아파트가 있고 도로의 결절점에는 오래 동안 보존되어 온 아주 작은 쌈지 소나무 공원이 있다. 비정형의 좁고 긴 대지는 아주 독특한 다양한 도시적 관계 속에 놓여 있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뫼뵈우스 띠 – 산책로
독특한 땅의 형태는 하나의 거대한 공간을 구축하기에는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좁고 긴 땅이 가진 특징을 그대로 공간을 구축하는 장점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주차 및 도심의 광장처럼 사용될 수 있도록 1층을 피로티 공간으로 비워내고 수공간을 배치하였다.

1층의 동선 흐름이 자연스럽게 내부로 이어지도록 하고 긴 동선을 구축하여 높이가 다른 슬라브들을 연결하는 내부 산책로를 구축하였다.

내부의 산책로는 자연스럽게 루프탑으로 이어지고 루프탑의 산책로로 걷다 보면 다시 시작점으로 돌아오게 되고 다시 내부로 그리고 다시 1층으로 이어지게 된다.

건축물은 내외부가 연결된 하나의 뫼뵈우스 띠로 구성된 산책로이다. 공간적 양면성서로 다른 높이의 바닥은 다양한 하천 풍경과 내부적 풍경을 경험하게 한다. 하천으로 접한 면에는 자연과 연결된 미래적이고 사이버 같은 느낌의 공간을 연출하고자 내부 재료 물성을 사용하였다.

반면 삼각형 코너를 돌면 나오는 내부 면에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천창의 빛과 반응하는 원초적 물성을 사용하여 자연 같은 느낌의 공간을 연출하고자 하였다. 서로 반대되는 성격의 공간은 빛에 반응하면서 동질화되어진다.

도시 전망대
루프탑은 다양한 성격의 도시 풍경을 느끼고 경험하는 건축적 장치이다. 내부의 높이 차이에 의해서 생긴 루프탑 계단들은 하천과 자연의 원경 그리고 구도심이지만 아름다운 도시풍경 또한 추후에 생기게 되는 교산 신도시들을 조망하는 도시 전망대가 될 것이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건축개요

대지위치 : 경기도 하남시 신장동
지역/지구 : 제 1종 일반주거지역
대지면적 : 658.0㎡
연면적 : 388.03㎡
건축면적 : 352.33㎡
주요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주요부분마감 : 유로폼 노출콘크리트
주용도 : 제2종 근린생활시설
층수 : 지상 2층
주차대수 : 5대

 

*** 경기도건축문화상 수상작 작품소개 관련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으며, 경기도건축사회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게재하였으며, 건축사뉴스 지면에 맞춰 편집해 게재하였음.

저작권자 © 건축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