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분기 전국 건축인허관 현황, 자세한 내용은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https://blcm.go.kr)‘맞춤형 건축통계’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자료제공=국토부)

2023년 1분기 전국 인허가 면적은 작년 동기 대비 8.5%, 착공 면적은 28.7% 감소하고,  준공 면적은 9.7% 증가했다.

국토교통부는 1일 2023년 1분기 건축 허가·착공·준공 현황을 발표했다. 

2023년 3월말 기준 전국의 허가 면적은 37,181천㎡로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 등의 허가 면적 감소로 인하여 전년 동기(40,656천㎡) 대비 3,475천㎡ 감소했다. 동수는 36,447동으로 전년 동기(46,550동) 대비 10,103동 감소하였다.

최근 5년간 1분기 건축 허가 연면적은 연평균 1.5% 증가하였으며, 동수는 9.0% 감소하였다. 국토부는 동수는 감소한 반면 연면적은 증가하여 규모가 큰 건축물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15,617천㎡(△2,554천㎡, △14.1%), 지방은 21,564천㎡(△920천㎡, △4.1%)로 모두 줄었다. 광역지자체 기준으로 대전 271.6%, 인천 87.8%, 부산 50.4% 순으로 9개 시·도에서 건축 허가 면적이 증가하고 대구, 충북, 전남, 세종, 경기, 경북, 광주, 경남은 건축 허가 면적이 감소하였다.

전국 착공 면적은 18,700천㎡로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의 착공 면적 감소로 전년 동기(26,240천㎡) 대비 7,540천㎡ 감소하였으며, 동수는 26,248동으로 전년 동기(34,715동) 대비 8,467동 감소하였다.

최근 5년간 1분기 착공 연면적의 연평균 증가율은 8.0%, 동수는 11.1%로 착공 물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이 9,278천㎡(△4,419천㎡, △32.3%), 지방은 9,422천㎡(△3,121천㎡, △24.9%) 모두 감소하였다. 용도별로는 기타(△43.6%), 상업용(△37.6%), 공업용(△22.6%), 주거용(△19.0%)은 감소하였으나, 교육 및 사회용(13.4%)은 증가하였다.

광역지자체 기준으로 대전 31.8%, 부산 26.7%, 강원 12.0% 순으로 3개 시·도에서만 착공 면적이 증가하고 대구, 인천, 세종은 큰 폭으로 착공 면적이 감소하였다.

전국 준공 면적은 31,666천㎡로 아파트, 연립주택 등의 준공 면적 증가 영향으로 전년 동기(28,863천㎡) 대비 2,803㎡ 증가하였으나, 동수는 33,271동으로 전년 동기(36,613동) 대비 3,342동 감소하였다.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16,939천㎡(1,854천㎡, 12.3%), 지방 14,726천㎡(949천㎡, 6.9%)로 모두 증가하였다. 광역지자체 기준으로 부산 91.3%, 전북 68.9%, 세종 39.3%, 충남 35.8% 순으로 9개 시·도에서 준공 면적이 증가하였고, 동수는 울산을 제외하고 모두 준공 면적이 감소하였다.

 

키워드

#ㅜㄴ
저작권자 © 건축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