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건축사회 양정식 부회장이 김은혜 국민의힘 경기도지사 후보에게 지자체 실정에 맞는 건축정책 시행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경기도건축사회 양정식 부회장이 김은혜 국민의힘 경기도지사 후보에게 지자체 실정에 맞는 건축정책 시행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후보측 박주홍 민주혁신위원장이 참석해 경기도건축사회 회원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후보측 박주홍 민주혁신위원장이 참석해 경기도건축사회 회원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경기도건축사회는 11일 용인시 기흥구 ICT밸리컨벤션에서 경기도지사 후보를 초청, 건축 행정 제도 개선 및 건축사 관련 업무를 주제로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정책간담회에는 김은혜 국민의힘 경기도지사 후보와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후보측 박주홍 민주혁신위원장이 참석해 경기도건축사회 정내수 회장을 비롯한 150여 명 회원들의 의견과 고충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정책간담회에는 경기도건축사회 정내수 회장을 비롯한 150여 명 회원들이 참석했다. 
이번 정책간담회에는 경기도건축사회 정내수 회장을 비롯한 150여 명 회원들이 참석했다. 

김은혜 후보, 건축사들의 무한한 책임의 무게 공감, 도민의 안전위해 예측가능한, 말이 통하는 행정 다짐

김은혜 국민의힘 경기도지사 후보
김은혜 국민의힘 경기도지사 후보

김은혜 후보는 인사말에서 “국토교통위원회 법안소위에 있었을 때 건축사법개정안을 직접 심사를 했었다”면서 “건축사 불법 자격대여, 불공정 거래행위, 설계나 감리 업무 부실 문제까지 보완하고 고쳐 나가야할 부분에 대해서 외쳐왔던 노고를 덜 수 있게 되어서 저 또한 함께 보람되고, 축하의 말씀을 그때 드렸었다”고 말했다.

“건축이 예술이기도 하면서, 생명과도 직결되어 있는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에 건축사 여러분들께서 짊어지고 있는 무한한 책임의 무게를 함께 느낀다. 저도 도민의 안전을 위해서 이 자리에 나왔기 때문에 오늘 주시는 좋은 의견들을 반영하고 새기겠다”고 강조했다.

간담회를 마무리 하면서 김은혜 후보는 “회사를 운영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직원들을 월급주며 먹여 살릴 때 제일 중요한 것이 '예측 가능성'이다. 예측 가능하지 않은 정부 규제나 지자체의 행정 때문에 많은 분들이 한 발짝도 못나아가는 것을 안다”면서 “기업처럼 어떤 사안이든지 결론을 빨리 내리고, 예측 가능할 수 있도록 룰을 만들고, 여러 규제를 시장에 던지지 않고 우리 스스로 통폐합하고 정리해 말이 통하는 행정을 할 수 있도록 오늘 주신 말씀을 잘 새기겠다”고 다짐했다.

경기도건축사회 정내수 회장(우)은 김은혜 국민의힘 경기도지사 후보(좌)에게  제도개선 제안서를 전달했다. 
경기도건축사회 정내수 회장(우)은 김은혜 국민의힘 경기도지사 후보(좌)에게  제도개선 제안서를 전달했다. 

김동연 후보측, 전문가들의 의견이 실질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경기도 지자체 후보들과도 공유할 것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지사 후보측 박주홍 민주혁신위원장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지사 후보측 박주홍 민주혁신위원장

이어 진행된 김동연 후보측과의 간담회에는 박주홍 민주혁신위원장이 대신 참석해 경기도건축사회 회원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박 위원장은 “김동연 후보도 경기도건축사회에 남다른 애정을 표시하고, 오늘 간담회를 통해서 실무적으로 단단한 틀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면서 추후에 김동연 후보 및 집행부와 소통할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문가인 여러분들의 현실적인 문제와 노고를 듣고, 그것들을 행정으로 연결시키고 실질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면서, 오늘 청취한 의견을 김동연 후보뿐만 아니라 경기도 권역 후보들과도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잘 전달할 것을 약속했다.

경기도건축사회 정내수 회장(우)은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지사 후보측 박주홍 민주혁신위원장(좌)에게  제도개선 제안서를 전달했다. 
경기도건축사회 정내수 회장(우)은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지사 후보측 박주홍 민주혁신위원장(좌)에게  제도개선 제안서를 전달했다. 

경기도건축사회에서는 ▲건축 인·허가 행정 통계조사 ▲건축공사 사고방지를 위한 감리제도 강화 ▲건축서비스산업 발전을 위한 중소기업 육성제도 ▲건축행정 서비스 강화를 위한 관리대행제도 ▲경기도 건축사 재난안전지원단 운영 협약 제도 ▲건축사법 개정에 따른 공동조사기구 설치 요청 ▲건축관련 사무의 시·군 위임으로 지자체 실정에 맞는 건축정책 시행 ▲일관된 건축 관련 법령 해석 및 적용 등에 대한 필요성을 설명하고 정책반영을 제안했다.

이외에도 건축인허가 행정시스템과 건축심의제도 개편에 관련해서도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심도있는 의견을 나눴다.

경기도건축사회 정내수 회장은 “2023년 8월이 되면 회원이 3,000명에 육박하는 경기도건축사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통합된 길을 가지 않으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두 후보를 모셨다”라며, 추후 제안한 의견들이 정책에 잘 반영되기를 당부했다. 더불어 경기도건축사회 1,900여 명의 고충을 담은 제안서를 두 후보측에 전달했다.

저작권자 © 건축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