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이프리스 미술관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건축 십 년 후의 기록

2025-06-26     이일 기자
셰이프리스 미술관 표지(자료제공=열화당)

 

『셰이프리스 미술관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건축 십 년 후의 기록』은 서울관을 설계한 건축가 민현준이 지난 십 년을 되돌아보며 건축 기록을 엮은 것으로, 개인의 건축 아카이빙 작업일 뿐 아니라 앞으로의 한국 공공 건축을 위한 제안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공모전 제안 당시부터 설계와 공사 과정, 개관 이후 운영 방식까지 건축가의 시선으로 담겨 있다.

최근 건축계에서는 유명 해외 건축가 중심의 국제지명건축공모 방식이나, ‘브랜드화’된 건축가의 개성적 형상에 기대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는 민간 상업 건축뿐 아니라 사회기반 시설이어야 할 공공 건축의 사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불통의 공간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미술관으로
2023년 11월 개관 10주년을 맞았던 서울 소격동에 위치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은 건축가가 공모전 제안에서부터 ‘셰이프리스(shapeless)’, 즉 무형(無形)의 개념을 강조하여 이러한 보여주기식 디자인 경향과는 대척점에 있는 사례이다. 

건축 자체의 형상을 부각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맥락과 융화되는 공간 시스템에 중점을 두는 개념으로, 첫인상이 압도적이진 않아도 사람들이 매일 드나드는 카페나 도서관처럼 일상에 스며드는 미술관을 의도한 것이다.

6장으로 구성된 책은 기본적으로 건축설계 과정과 비슷하지만, 모든 내용이 병렬적 관계를 이루도록 되어 있어 독자들이 각자 흥미로운 주제를 선택해 살펴봐도 무방하다. 책에는 건축물 사진과 공모전에 제출한 배치도, 해외 사례 등 시각자료 157점이 수록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설계 당시의 스케치, 샘플 모형 등 건축가의 아이디어 전개를 엿볼 수 있는 자료도 포함된다. 

1장 동시대 미술관 : 박물관에서 미술관으로, 2장 셰이프리스 미술관 : 형상에서 전략으로,  3장 장소특정적 미술관 : 탈맥락에서 재맥락으로, 4장 열린 미술관 : 보물창고에서 공원으로, 5장 관람객 중심형 미술관 : 이동에서 집중으로, 6장 군도형 미술관 : 선형에서 그물망으로. 

각 장의 제목은 새로운 미술관을 정의하는 용어이며, 부제목은 기존 미술관의 관습에서 벗어난 서울관의 지향점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십 년을 향하여
십여 년이 지난 후에야 이 책을 낸 이유에 대해 저자는, 개관 당시에는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요인들이 많았으나 이제야 비로소 건축 자체로만 볼 수 있는 시점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힌다. 

작가들과의 긴밀한 소통 속에서 준비된 개관전은 물론이고 그 이후 지금까지 좋은 전시들이 개최되었고, 그동안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며 공간에 대한 이해도도 높아졌다. 관람객들에게 서울관과 이에 관계된 이야기들이 전시만큼이나 감상과 영감의 대상이 되기를 바라며, 건축물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된다면 방문했을 때의 감흥도 배가될 것이다. 

그 연장선에서 건축인들에게는 동시대 미술관에 관한 최신의 각론(各論)으로, 공공 건축 사업 관계자 및 서울관의 관리자 등에게는 서울관과 같은 특수한 공공 건축물을 이해하는 안내서로, 구체적인 지침이 되어 줄 책이다. 

불과 십여 년 전까지 폐쇄와 불통을 상징했던 터가 기나긴 논의와 합의의 여정을 거쳐 지금의 모습으로 변모한 것처럼, 앞으로도 새로운 예술과 다양한 사람들이 서울관을 채워 나가길 기대한다.

이 책에서 공간 명칭은 준공 시점을 기준으로 적되, 필요에 따라 계획안이나 현재의 명칭, 실현되지 못하거나 변경된 내용도 밝혔다. 책 끝 부록에는 프로젝트 개요와 상세 도면을 수록하여 전체적인 구조는 물론 여러 방향에서의 단면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 민현준 ::

1968년 출생으로, 건축사사무소 엠피아트(MPART) 대표 건축가이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UC Berkeley) 환경대학원을 졸업하고, 건축사사무소 기오헌과 미국 에스오엠(SOM)에서 실무를 익혔다. 귀국 후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 국제공모(2007)에 입상하면서 자신감을 얻어 건축사사무소를 설립했다. 강변·교량·가로 디자인 등 도시 환경디자인에서 시작해 건축 및 거대 도시 계획까지 넘나들면서 도시와 건조 환경의 사회적 문제와 공간적 개선을 주제로 작업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의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현대미술관의 군도형 배열에 관한 연구」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작업으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헤럴드신문사 사옥, 현대자동차그룹 영남권 연수원, 서울시 산악문화체험센터(박영석기념관), 천안 성거산성지성당, 파주 DMZ유니마루미술관, 콩치노콩크리트, 명선아트홀 등이 있으며 충남국제전시컨벤션센터, 인천뮤지엄파크, 부산북구청사가 진행 중이다.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에서 학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동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다음 세대 건축가 양성에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