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소방서 이의119안전센터

- 2024 경기도건축문화상 사용승인부문 안산시장상 - 정아(가인공간 건축사사무소)

2025-06-20     이일 기자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디자인을 입은 소방청사
기피시설에서 환영받는 안전센터가 되다

이의119안전센터는 경기융합타운에 자리하였으며, 경기융합타운의 마스터플랜은 곡선 디자인의 유선형 배치를 기반으로 한다. 타운의 전체적인 경관 컨텍스트(context)를 유지하며, 소방청사라는 경직된 이미지에서 탈피한, 곡선 디자인의 부드러움과 유연성, 역동성을 고려하는 동시에 현대적 독창성과 상징성을 표현함으로써, 근래 도심지 주거지역에서 기피시설로의 인식과 부정적 이미지를 갖는 공공시설에서, 디자인 특화를 통해 환영받는 지역 친화적 소방청사로의 반전에 기여하였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이의119안전센터가 속해 있는 ‘경기융합타운’은 경기도청사, 도의회, 교육청, 도서관, 경기도시공사 등 대규모의 상징적인 건물들과 주변은 대규모 판매시설과 공동주택이 사업지를 둘러싸고 있는 광교신도시의 중심가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곳에 119안전센터가 들어온다고 했을 때 기피시설로 인식되어 주민들에게 환영받지 못했고, 무려 9년 기간을 소음·교통난을 우려한 일부 주민들의 반대로 이전 위치를 못 찾아 헤매던  ‘이의119안전센터’가 결국 돌고 돌아 원래 있던 제 자리에 안착했다.

경기융합타운의 조성 비전은 ‘화합으로 백성이 행복해지는 공간’이란 뜻으로 정조대 왕의 인인화락(人人和樂)과 세종대왕의 애민정신(愛民情神)이다. 이에 바탕 하여 경기도청사와 도의회는 사람을 상징하는 시옷(ㅅ) 형상의 통합된 건물로 배치했다고 한다.

경기융합타운 내의 건축물은 각각의 형태와 별개로 동떨어지지 않는 프랜들리 디자인 (Friendly Design)으로 각자 나름의 독창적인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면서 융화되고 어우러진다. 그러한 의의(意義)에 기초하여 주민과 함께 어우러지는 부드럽고 친근한 소방청사를 계획하고자 하였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켜켜이, 잇다

켜(Layer), 하나하나의 켜들이 쌓여서 공간을 형성하고, 주변과 융화되어 흐르고, 흐름과 흐름이 이어져 이음은 다시 공간이 된다. 우측면의 매스는 여러 켜가 쌓여 공간을 형성하고, 흐름을 연결하여 공간을 잇는다.

소방청의 상징 새매

주위를 예방·경계하다가 사고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날아가 소중한 인명을 구하고 힘차게 비상하는 새매의 날개처럼, 하늘로 솟구치는 역동적인 입면 파사드는 안전을 주고, 안심을 받겠다는 확고한 신념과 든든함이다.

숭고함의 흰색

주조색인 흰색은 숭고함을 상징한다. 모두가 불길을 피해 달아나는 그 길을 묵묵히 뒤돌아 들어가 위험을 무릅쓰고 다른 사람을 구하는 그 숭고함이야말로 진정한 아름다움이다. 늘 긴장되고 경직된 이미지가 많았던 소방청사에서 탈피하여, 부드럽고 친근한 아름다운 소방청사의 모습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흰색은 햇빛과 조명,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통해 시간과 계절의 변화에 따라 건물에 다양한 색과 분위기를 입히고 주변과 융화된다.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자료제공=경기도건축사회)

건축개요
대지위치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지역/지구 : 일반상업지역/지구단위계획구역
주용도 : 업무시설(공공업무시설)
대지면적 : 2,000㎡
연면적 : 1,399.72㎡
건축면적 : 880.26㎡
주요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주요부분마감 : 스타코플렉스, 화강석(마천석) 
규모 : 지상 3층
주차대수 : 14대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 4등급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 : 1++등급
에너지성능지표점수 : 의무사항적용
녹색건축인증 : 우수(그린2등급)
기타기타 특이사항 : 장애물없는생활환경 우수등급인증

 

*** 경기도건축문화상 수상작 작품소개는 관련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으며, 경기도건축사회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게재하였으며, 건축사뉴스 지면에 맞춰 편집해 게재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