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신축부터 해체까지 생애주기별 맞춤 점검…건축안전자문단 배치해 전문성 높인다
- 고양시, 건축물·도로시설물 안전관리 강화…시민안전 최우선 - 건축물·도로시설물 총 1,022개소 안전점검…특별관리, 보수보강 실시 - 2030년까지 도로시설물 내진율 100% 달성…체계적 유지관리로 자연재해 대비 - 종합계획 수립해 건축물 4단계 관리체계 구축…7개 분야 민간전문가 활용 = 노후건축물 102개소 실태조사…강촌·백마육교 대설예방시설 설치
고양시는 건축물 생애주기별 맞춤 점검을 시행하고 건축안전자문단을 운영해 민간건축물 안전점검 전문성을 강화한다. 건축물·도로시설물 총 1,022개소 안전을 점검하고, 도로시설물 보수보강과 내진성능 확보로 시민 안전을 지키고 지진 등 자연재해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고양시는 건축물 긴급안전사고 발생 예방을 위해 2025년 건축물 안전점검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건축물을 총 4단계로 나눠 생애주기별 안전점검을 진행한다.
먼저 신축단계에서는 건축공사장 현장 안전과 감리업무 실태를 점검하고 오피스텔 등 주거용 건축물은 사용승인 전 품질 전반을 꼼꼼히 점검한다. 안정단계에서 들어선 건축물은 안전사고 위험이 있는 다중이용건축물,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적설취약건축물 등을 선별해 점검한다.
사용승인 후 30년 이상 지나 노후단계에 있는 3층 이하, 연면적 1,000㎡ 이하의 소규모 노후건축물은 2차에 걸쳐 구조·화재 안전 및 에너지성능 등을 점검하고 관리자와 면담을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철거단계에서도 해체현장을 철저히 점검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계획이다.
각 단계 안전점검에는 점검 목적 및 특성에 따라 건축안전자문단을 배치해 전문성을 강화한다. 시는 지난해부터 건축·구조·시공·토질 및 기초·토목구조·건설안전·건설기계 등 7개 분야 민간전문가 총 56명으로 구성된 ‘고양시 건축안전자문단’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건축안전자문단은 그랜드프라자 인접 도로균열, 아파트 단지 기둥파손, 외장재 낙하 등 긴급점검에 투입된 바 있다. 또 민간 대형 건축공사장, 노후 공동주택 및 안전 취약 시설물, 다중이용시설 등 안전점검 현장을 함께 점검하고 기술 자문 역할을 수행해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올해도 ▲민간 건축공사장 안전점검 ▲해체공사 현장 안전점검 ▲고양시 3개 구청 비상 응소 시 점검반 지원 ▲각종 건축물 안전점검 및 보수‧보강 방안 제시 등 건축물 안전관리를 위해 활발한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고양시는 올해 연면적 3천㎡ 이상 건축물, 다중이용건축물 등 약 320개소 건축물 정기점검을 실시한다.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건축물 약 360개소도 정기안전점검을 진행한다.
또 소규모 민간 건축물 관리를 위해 3종 시설물 지정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3종 시설물은 중·대규모인 1·2종 시설물 외에 안전관리가 필요한 소규모 시설물을 말한다. 준공 후 15년이 경과한 일정 규모 이상 민간 노후 건축물 102개소가 대상으로 조사 결과 지속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건축물은 3종 시설물로 지정·고시해 정기 점검을 수행하도록 할 예정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건축물 안전점검 전문성을 강화해 성능과 품질을 높이고 정기적 안전점검과 신속한 시설물 유지보수로 시민의 일상을 지키겠다”며 “시민 행복은 시민 안전에서 시작된다는 점을 잊지 않고 안전한 고양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