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으로 열린 집
- 2023 경기도건축문화상 사용승인부문 입선 - 이호석, 한보영(이한 건축사사무소)
건축주는 블록형 단독주택에 몇년을 거주하면서 마당있는 단독주택에 대한 계획을 꾸준히 세워 왔다. 오랜 기간 주변동네 산책을 겸한 토지 물색을 통해 지금의 대지를 만났다고 한다.
대지는 단독주택지 블록의 단부에 해당하고, 북서측에 도로를 면하고 남쪽으로는 공원을 면하고 있다. 대지가 공원의 모서리쯤에 접한 이유인지 공원 이용객이 눈에 띄지 않았고 공원과 접한 면은 낮은 둔덕과 차폐식재가 조성되어 있었다.
사생활을 보호하고 자연으로 열린 집
집은 공원으로 열린 ‘ㄷ’자 형태이다. 남쪽 공원으로는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주변으로부터는 독립되면서 유난하지 않고 차분한 형태로 주변과 어우러지는 집이 되고자 했다.
빛과 자연이 충만한 가족공간
집의 중심에 위치한 거실은 2개층을 오픈하여 공원의 풍경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 이로써 주방과 거실은 중정을 통해 조절된 빛으로 충만하다. 주방공간은 거실과 식당 사이에 위치시켜 가족들간의 시선이 늘 닿을 수 있도록 했다. 집의 중심부에 위치한 계단 하부의 공간은 부모와 같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아이의 아지트 같은 공간이다.
이끼정원이 있는 별채
건축주는 둘째 출산을 앞두고 아이의 유아기를 함께 보낼 공간을 상상했다. 한옥의 별채처럼 숨은 복도를 지나 처마가 길게 뻗은 공간을 계획했다. 깊은 처마 아래로 이끼정원이 자리 잡아 아늑하고 고요한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건축주는 이 집에 살면서 아이와 마당에서 공원으로 뛰어나가고, 중정에 놓인 수반에서 새가 목을 축이고 쉬어가는 모습에 빠졌으며, 일출시간과 일몰시간을 확인해가며 빛이 변화는 모습을 관찰하게 되었다고 한다. 준공후 방문한 집에서는 어디서든 자연과 마주하며 빛과 소리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는 일상의 분위기가 진하게 느껴졌다
건축개요
대지위치 : 경기도 김포시 운양동
지역/지구 : 1종전용주거지역/1종지구단위계획구역
주용도 : 단독주택
대지면적 : 335 ㎡
연면적 : 269.04 ㎡
건축면적 : 167.29 ㎡
주요구조 : 철근콘크리트조
주요부분마감 : 대리석, 에쉬탄화목, 합금강판
층수 : 지상 2층
주차대수 : 2 대
*** 경기도건축문화상 수상작 작품소개 관련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으며, 경기도건축사회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게재하였으며, 건축사뉴스 지면에 맞춰 편집해 게재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