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숨
- 2023 경기도건축문화상 사용승인부문 입선 - 한기열, 장서영(마인드 건축사사무소)
대상지인 남한산성은 전근대에 지어진 요새들이 대부분 그렇듯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기능은 퇴색되었고 대신 각종 먹거리, 볼거리들이 밀집된 관광지와 등산로로서 애용되고 있다. 대상지는 산성 중심에서 다소 외진 시골 마을에 있다. 여느 시골 마을처럼 산과 들로 둘러 쌓인 한적한 작은 시골이며 대상지도 버려진지 오래된 빈집이었다.
Fortress(요새) + inner courtyard (안쪽 마당)
상생(相生)
산성 중심에 조금 떨어진 낙후된 대상지는 버려진 빈집을 새로운 건축물로 탈바꿈하는 과정에서 작은 시골 마을의 고즈넉하고 한적한 분위기를 훼손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과제였다. 마을 사람들은 빛과 소음등 불편한 부분과 근린시설 이용자들은 편안한 휴식을 즐길 수 있는 상생의 방안 모색이 필요했다.
soom (숨)
대상지에서 북서 측의 마을이 있는 주택가의 시선은 벽으로 차단하여 요새화하고, 풍경이 있는 햇살이 좋은 남동 측은 넓은 창으로 열어주고, 하천이 있는 건물 앞길에서 5미터와 2미터 높이의 옹벽으로 두 단 높여주고 편백나무로 담장 역할을 하여 감싸주는 방식으로 계획하였다. 근린시설의 주 출입구에 들어서면 요새의 내부처럼 아늑하게 크게 ’숨‘을 내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공존 (共存)
나무가 늘어선 조용한 시골길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깊고 어두운 동굴에 들어 가는 것 같지만 건물 안에서는 휴식을 선사한다. 외부는 내향적이지만 내부는 외향적인 건축물로 서로 존중하고 공존한다.
외부 (내향적, introvert)
조각적이고 형태적 볼륨은 마을 길을 따라 남한산성의 숨 막히는 파노라마가 내려다 보이는 둥지의 바위를 연상케 한다. 건물의 볼륨은 기하학과 노출 콘트리트의 외피에 의해 강조된다.
내부 (외향적, extroverted)
남동 측에 큰 안뜰은 충분한 빛을 제공하고 주변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본관과 별관 사이를 같은 방향으로 막아주고 열어주고를 반복한다. 내부와 안뜰 정원은 성벽처럼 차갑고 삭막하고 어두운 것과는 거리가 먼 공간의 따뜻함과 자연의 생동감을 강조한다. 마을 전체 풍경을 훼손하지 않으며 버려진 빈집을 바꾸고 이 건축물이 마을과 근린시설 이용자들이 함께 공존하며 ’숨‘ 쉬는 공간이 되었다. 이로써 마을의 표정이 바뀌고 한결 따뜻해지길 기대한다.
건축개요
대지위치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오전길 108-11(본관), 108-13(별관)
지역/지구 : 제1종일반주거지역/ 제1종지구단위계획구역
대지면적 : 본관 895㎡, 별관 478㎡
연면적 : 본관 390.94㎡, 별관 263.85㎡
건축면적 : 본관 247.37㎡, 별관 155㎡
주요구조 : 철근콘크리트 구조
주요부분마감 : 노출콘크리트
주용도 : 휴게음식점
규모 : 지상 2층
*** 경기도건축문화상 수상작 작품소개 관련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으며, 경기도건축사회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게재하였으며, 건축사뉴스 지면에 맞춰 편집해 게재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