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보르산 영성선교원 - 영성의 집과 새움
- 2023 경기도건축문화상 사용승인부문 은상 - 권정현(신화종합건축사사무소 ), 맹필수, 문동환((주)엠엠케이플러스)
타보르산영성선교회는 백운산, 광교산의 큰 숲과 접한 용인 고기동 골짜기의 끝자락에서 바쁜 현대 사회에서 지친 사람들이 쉽게 찾아와 영성을 채우고 편안한 안식을 향유할 수 있는 넉넉하게 열린 장소를 만들고 싶어했다. 영성의 집과 새움 빌딩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우리는 매순간 다른 풍경을 가지는 큰 숲들로 둘러싸인 언덕에 위치하는 건축물들이 대지에 앉혀지며 다양한 내외부의 휴식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고, 내부에서는 그 푸역ㅇ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담으며 외부에서는 자리잡은 형상이 자연과 함께 더욱 풍부한 풍경을 만들고자 했다.
영성의 집
남에서 북으로 내려가는 경사와 함께 산골짜기에서 남측으로는 오랜기간 자연스럽게 자라난 숲을 배경으로 하는근경을 가지며, 북측으로는 겹겹이 산등성의 원경을 가지는 대지에서 기도를 위한 집을 만든다고 했을 때 가장 먼저 고려한 것은 주변의 아름다운 풍경을 공간 속으로 끌어들이며, 동시에 주변의 숲의 풍경에 어울리는 열린 장소를 만드는 것이었다.
현대인에게 안식과 위로를 제공하기 위한 영성의 집은 예배당과 6개의 기도실, 화합과 식사를 위한 집회실, 사무실로 이루어진다. 최초 영성선교회에서 상상했던 예배당은 기도에 집중하는 닫힌 공간이었으나 매 순간 변하는 자연이 풍경과 함께 기도하는 열린 공간은 이곳에서만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건축가의 의견에 동의하여 예배당의 제단과 입구 양쪽으로 크게 열려 남북의 근경과 원경을 담는 예배당을 구현할 수 있었다.
건물은 최대한의 층고와 공간감을 제공하면서도 주변의 환경에는 최소한으로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계획하였다. 특히 내부공간에서 필요한 공간을 위해 1층 기도실과 복도에서부터 시작되며, 1층 기도실 옆에 소회합에서 북측의 풍경과 함께 상부 예배당으로 열린공간을 가지도록 구성했다. 1층에서부터 크게 기울어진 벽체를 만들기 위해서 공사과정에서 비계역할을 하며, 커튼월의 구조로 역할하는 십자형의 철골을 양끝에 두어 자연스럽게 종교시설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전면도로에서 지상으로 접하며 나머지 부분에서는 땅에 묻히는 지하층에서 집회실, 사무실, 주방 및 소집회실이 중정을 둘러싸는 구성으로 거주를 위한 환경을 구성하며, 다양한 행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경사지에 놓이는 건물의 특성을 극대화하여 지하 1층의 전면부와 중정뿐만 아니라 1층의 각 기도실에서 나올 수있는 테라스, 회의실에서 연결되는 옥상공간, 2층 예배당에서 연결되는 서측 마당 등 모든 공간에서 직접 연결되는 다양한 외부공간을 배치하여 기도와 회합의 과정에서 다양한 자연과 풍경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했다. 지하 1층을 위주로 대지에 접하는 부분은 어두훈 현무함으로 삼각형의 매스를 이루는 부분은 화강으로 외장재를 구성했다.
2층 예배당은 예배시 삼각형 조형의 특성으로 음이 반사하여 울릴 것을 고려하여 전체 벽을 목재 흡음패널로 구성했으며, 흡음패널의 세로형 그릴에 같은 폭의 목재를 추가로 부착하여 흡음성능을 높일뿐만 아니라 삼각형 공간의 흐름을 더욱 강조하여 전후변의 열린 창과 함께 특별한 공간감을 가질 수 있도록 의도했다. 예배당에 필요한 냉난방 및 전기통신 설비는 측면에 성경, 찬송가집 등의 책을 보관하며, 필요에 따라 개인적으로 기도할 수 있는 가구에 일체화하여 예배당에서 드러나지 않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1층의 기도실 각 실에서는 남측으로 크게 열린 창과 함께 이를 둘러싸는 벽, 후면부 골짜기의 물으 받아 흘리는 수경시설로 다양한 풍경을 가지는 밀도 있는 공간을 구성하였으며, 사무실 상부의 테라스는 자연스럽게 새움빌딩으로 연결된다.
새움
새움빌딩은 이곳을 찾을 사람들이 편하게 다과를 이용할 수 있는 카페와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옥내, 옥외 행사를 수용하기 위한 장소이다. 남측의 주진입로와 열린 마등을 기도의 집과 함께 공유하고, 북측으로는 8~9m의 레벨차를 가지며 고기동 골짜기 아래로 크게 열린 풍경을 가지는 넓은 잔디마당을 가지는 대지의 형상을 고려하여 필요한 면적을 담되, 북측의 높은 마당에서 누릴 수 있는 고기동의 풍경을 가리지 않으며, 크고 작은 외부행사를 넉넉히 수행하는 새로운 땅이 되는 건축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지하 1층과 1층의 체적은 2층 마당의 레벨에 맞추어 풍경을 볼 수 있는 새로운 대지-옥상정원을 구성한다. 많은 부분이 땅에 묻히는 지하 1층과 1층은 현무암으로 외장을 구성하고, 바다까지 최대한으로 열리는 전창을 계획하였으며, 지하 1층 전면부 마당, 1층 테라스 등 외부공간을 연결하여 모든 층에서 남측의 골짜기와 도시로 열린 조망을 누릴 수 있도록 했다.
삼각형 평면의 투명한 파빌리온으로 구성되는 2층 옥외공간에서 도시로 열린 풍경을 가리지 않고자 비스듬히 위치하여 사방의 풍경을 향유하는 공간이 되며, 마당과 옥상 정원으로 크게 열림으로써 평소에는 휴식과 회합의 공간으로 사용되며, 필요한 경우 건물 내부에서의 행사 뿐만 아니라 넢ㅂ은 마당을 이용한 옥외 예배, 음악회, 결혼식 등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향사의 배경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2층의 삼각형 평면에 의해 구분되는 동측의 삼각형 공간은 각 층을 연결하는 계단과 함께 지하 1층까지 모두 열린 중정으로 계획했으며, 서측으로는 2층에서 1층으로 열린 중정과 1층에서 지하 1층으로 열린 내부 보이드 공간을 구성하여 각 층을 공간적으로 연결하며, 1층과 지하 1층의 깊은 내부까지 채광과 환기가 용이하도록 의도하였다.
설계개요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지역지구 : 도시지역, 자연녹지지역
대지면적 : 2,687.0㎡0(영성의 집 : 944㎡/ 새움 : 1,743㎡)
건축면적 : 559.45㎡(영성의 집 : 211.38㎡/ 새움 : 348.07㎡)
연면적 : 1,550.06㎡(영성의 집 : 662.38㎡/ 새움 : 887.68㎡)
용도 : 제2종 근린생활시설(종교집회장), 제1종 근린생활시설(휴게음식점)
층수 : 지하 1층, 지상 2층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외부마감 : 화강석, 현무함
주차대수 : 12대(영성의 집 : 5대, 새움 : 7대)
*** 경기도건축문화상 수상작 작품소개 관련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으며, 경기도건축사회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게재하였으며, 건축사뉴스 지면에 맞춰 편집해 게재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