餘裕堂
2023 경기도건축문화상 사용승인부문 은상 정양호, 정경모((주)제이와이제이 건축사사무소)
餘裕堂(여유당)
여유의 사전적의미는 물질적·공간적·시간적으로 넉넉하여 느긋하고 차분하게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마음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 집은 건축주에게 그런 집이고 싶었다.
집을 짓는 이유
아파트에서만 살아왔던 그는 대부분의 보통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집에 대한 로망이 있었다. 은퇴할 나이가 다가오고 있고, 편하지만 이런 저런 문제점의 아파트 보다는 나만의 마당과 테라스가 있고 반려견과 함께할 수 있는.... 그런곳에서 남은 여생을 살고 싶어 했다.
건축계획
대지는 한창 개발 중인 화성시 내에 있는 단독주택용지이다. 분양하는 도심지 내 단독주택 용지가 대부분 그러하듯 평지에 한 면은 도로(남측)를 끼고 정방형으로 바둑판같은 땅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양 옆으로 다른 집들이 들어설 것이고 정북일조를 받는 땅이다.
도로가 남측에 있어 채광과 프라이버시 사이의 접점을 찾고, 주변상황과 안정감 있는 내부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공간은 ‘ㄱ’자 배치를 택했고, 각각의 공간에 맞추어 마감재료를 정했다. 마당과 연계된 필로티 주차장과 그 위 넓은 테라스를 만들어 ‘ㄷ’자 배치를 구성하여 넓은 마당과 넓은 테라스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모든 실들이 남향의 마당에 면하게 배치하여 햇살과 변화하는 자연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하고, 시각적 변화가 주는 공간적 경험이 일상의 즐거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랬다.
공간과 공간 사이를 지나며 마당에서 자연의 변화를 느끼고, 빛과 그림자로 시간의 변화를 느끼고, 바람을 맞으며 하늘과 별을 바라보는 것이 이 집이 주는 일상의 즐거움이 아닐까 생각했다.
주차장을 지나 현관에 들어서면 높은 코너창을 통해 하늘을 볼 수 있고, 현관을 지나 거실에 들어서면 통창을 통해 마당이 거실에 유입되고 거실은 마당까지 확장된다.
마당으로 열린 거실에서는 계절과 시간의 흐름을 느끼며 편안함을 즐 길 수 있도록 했다.
대부분 편의성으로 인해 현관 가까이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을 두지만 이 집은 계단을 깊은곳에 두어 오고가며 서로 마주칠 수 있는 기회를 더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지구단위지침에 따른 박공지붕으로 인해 2층은 높은 층고가 확보되어 개방감을 느낄 수 있었고, 2층의 테라스는 안쪽 깊숙한 곳에 프라이빗한 테라스와 도로에 면한 텃밭 딸린 열린 테라스를 배치하여, 기분에 따라, 상황에 따라 외부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도로에 면한 이 테라스에는 햇빛 좋은 날 큰 빨래를 널 수 있는 빨래걸이도 있다.
설계개요
대지위치 : 경기도 화성시
지역·지구 : 제1종전용주거지역
대지면적 : 311㎡
연면적 : 188.95㎡
건축면적 : 149.84㎡
주요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주요부분마감 : 치장벽돌, 탄화목
주용도 : 단독주택
층수 : 지상 2층
주차대수 : 2대
*** 경기도건축문화상 수상작 작품소개 관련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으며, 경기도건축사회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게재하였으며, 건축사뉴스 지면에 맞춰 편집해 게재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