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솔올미술관 개관전, 《루치오 폰타나- 공간·기다림》展
- 강릉의 새로운 공공 미술관으로 강릉시 교동 7 공원 내에 건립된 솔올미술관 오는 2 월 14 일(수) 개관 - 마이어 파트너스(Meier Partners)의 건축으로 미술⋅자연⋅사람이 어우러진 미술관 - 한국미술과 세계미술을 연결하여 우리 미술의 미술사적 맥락을 조명하는 미술관 - 문화도시 강릉의 예술적 랜드마크로서 품격 있는 문화 관광 활성화에 기여
솔올미술관이 오는 2월 14일 강릉의 새로운 공공 미술관으로 개관 한다.
강릉시 교동 7공원에 건립된 솔올미술관은 2020년부터 4년 동안의 준비기간을 거쳐 지상 2층 지하 1층, 연면적 3,221.76㎡ 규모로 조성되었다. ‘솔올’이라는 이름은 미술관이 자리한 지역의 옛 이름으로, ‘소나무가 많은 고을’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솔올미술관은 마이어 파트너스(Meier Partners)의 건축 작품으로 현대건축의 거 장인 리처드 마이어(Richard Meier)의 건축 디자인과 철학을 보여준다.
솔올미술관은 미술 본연의 미적 감각이 발현되며 미술, 자연, 사람이 어우러지는 개방된 공간을 지향한다. 미술로 세계와 소통하고자 하는 솔올미술관의 비전이 내부와 외부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마이어 파트너스(Meier Partners)의 건축으로 조화롭게 시각화되었다.
진입로를 시작으로 길을 따라 올라가면 해발 62m 높이에 백색의 미술관이 서서히 드러나도록 설계되었다. 미술관 주변으로 소나무가 우거진 공원이 조성되어 있어 미술을 즐김과 동시에 자연을 거닐며 일상에서 벗어나 여유와 쉼을 얻을 수 있다.
솔올미술관은 미술과 건축이 하나로 구상된 이머시브(immersive) 미술관이자 한국미술과 세계미술이 소통하는 대화의 장이다. 솔올미술관의 건축 디자인은 한국의 유교적 예술 철학에서 영감을 받아 형태와 재료, 구성의 단순함 과 자연과의 조화로운 관계가 표현되었다.
한국의 건축적 전통을 살리고자 중앙에 마당을 조성하고 세 개의 파빌리온이 감싸도록 설계되었다. 웅장한 볼륨감을 자랑하는 캔틸레버(Cantilever)의 북쪽 윙(Wing)에는 두 개의 메인 전시실이 마련되어 있고, 명료한 형태의 큐브(Cube)에는 천정고 7.5미터의 명상적 성격을 보여주는 전시실과 사무공간이, 그리고 주 출입구가 있는 투명한 파빌리온에는 로비와 카페가 마련되어 있다.
솔올미술관 건축은 예술을 담는 순수한 배경이 된다. 미니멀한 백색 마감과 절제된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연광이 전시실을 자연스럽게 채우도록 설계되었다.
관람자의 동선은 주변의 공원을 차분히 감상할 수 있도록 밖을 향하게 디자인된 외향적 공간이다. 반면 전시공간은 작품 전시의 독립적 내밀성을 극대 화하기 위해 최대한 내부 지향적으로 구성된 내향적 공간이다.
솔올미술관은 한국미술과 세계미술을 연결하는 미학적 담론의 장이 될 것으로 예 상된다. 김석모 솔올미술관장은 “미술을 매개로 세계와 소통하고자 하는 솔올미 술관이 우리나라의 미술관 생태계에 의미 있는 좌표를 찍기 바란다”라고 전했다.
개관전 《루치오 폰타나: 공간·기다림》展
솔올미술관은 개관전으로 현대미술의 거장 루치오 폰타나(1899-1968, Lucio Fontana)의 공간주의(Spatialism)를 소개한다. 캔버스를 찢은 폰타나의 작품은 현대미술의 아이콘으로 대중의 기억에 깊이 각인되어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폰타나의 공간주의를 더욱 본질적으로 보여주는 네온 공간설치 작업 6점이 소개된다. 폰타나의 공간설치 작업이 아시아 미술관에서 소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40년대 ‘공간주의(Spatialism)’를 주창하며 2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미술사에서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펼쳐 보인 폰타나는 빛을 이용한 라이트 아트, 몰입형 미술 등 현대미술의 혁신적인 움직임을 조형적으로 실험한 선구자이다.
전시 개요
▪ 전시명: (국문) 《루치오 폰타나: 공간·기다림》
(영문) 《Lucio Fontana: Spatial Concept》
▪ 기간: 2024. 2. 14.(수) ~ 4. 14.(일)
▪ 장소: 전시실 1, 전시실 2
▪ 전시부문: 공간환경 설치 작품 6점, 회화 12점, 조각 9점(총 27점)
▪ 주관: 한국근현대미술연구재단(KoRICA)
▪ 협력: 루치오 폰타나 재단(Fondazione Lucio Fontana)
▪ 후원: 주한 이탈리아 대사관(Ambasciata d’Italia Seoul),
주한 이탈리아 문화원(IstitutoItaliano di Cultura di Seoul)